내 몸이 계속 피곤한 이유: 병원에서 말해주지 않은 생활 속 문제점 5가지
“정상입니다”라는 병원 진단, 그런데 왜 나는 계속 피곤할까?
나는 매일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밤 11시에 잠들어 아침 7시에 일어나는 생활을 몇 달 동안 이어왔고, 휴식도 나름 충분히 취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아침에 눈을 뜰 때마다 몸이 무겁고, 마음도 가라앉아 있었고, 하루가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지쳐 있었다. 이건 단순한 ‘피곤하다’는 느낌이 아니라, 마치 몸속 에너지가 바닥난 것 같은 무기력감에 가까웠다.
이 상태가 수주 이상 지속되자, 결국 병원을 찾았다. 혹시 빈혈일까, 갑상샘 기능 이상일까, 아니면 다른 신체적 질병일까 싶어서 혈액검사와 일반 건강검진을 모두 받았다. 하지만 돌아온 진단은 늘 똑같았다.
“수치는 정상입니다. 특별한 이상은 없습니다.”
그 말을 들었을 때 나는 안도하면서도 더 혼란스러웠다.
‘이 정도로 몸이 피곤한데 아무 이상이 없다고?’
어딘가에서 분명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내 몸의 신호를, 의학적 진단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그때부터 나는 문제의 원인을 ‘내 생활 안’에서 찾아보기 시작했다. 검사로는 드러나지 않는, 하지만 반복될수록 몸을 무겁게 만드는 생활 속 습관들. 내가 실제로 겪었던 다섯 가지 문제는, 병원에서는 알려주지 않지만 만드는 주범들이었다.
아침을 거르고 시작하는 하루 – 에너지 밸런스의 붕괴
나는 아침을 거의 챙기지 않는 사람이었다. 이른 아침부터 식욕이 없기도 했고, 출근 준비에 쫓기다 보면 자연스럽게 식사를 건너뛰게 되었다. 대부분 커피 한 잔으로 아침을 시작했고, 허기를 달래기보단 카페인으로 버티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은, 이런 습관이 오전 내내 느껴지는 피로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우리 몸은 잠자는 동안에도 뇌와 장기들이 활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기상 후에는 반드시 혈당을 안정시켜줄 영양분이 필요하다.
아침을 거르면 혈당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뇌는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고, 이는 곧 집중력 저하와 두통, 나른함으로 이어진다.
내가 아침에 겪던 피로도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습관을 바꿨다. 처음엔 바나나 하나와 견과류 한 줌을 먹는 것으로 시작했고, 익숙해지자 삶은 달걀, 두부, 통밀빵 같은 복합 탄수화물과 단백질 위주의 식단으로 확장했다. 그 결과 단 며칠 만에 오전 시간 동안 머리가 더 맑아졌고, 업무 집중력도 좋아졌다. 아침 식사는 단순한 끼니가 아니라, 하루 전체의 에너지 흐름을 안정시키는 열쇠였다.
수면 시간은 충분한데, 수면의 ‘질’이 나빴다
사람들은 흔히 “잠만 충분히 자면 된다”고 말한다. 하지만 내가 경험한 바로는, 수면의 양보다 훨씬 중요한 건 수면의 질이었다.
나는 7시간 이상 자고도 항상 피곤했고, 깨어날 때 개운한 적이 거의 없었다. 문제는 내가 ‘어떻게’ 자고 있었는가였다.
나는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붙잡고 있었다. 누워서 SNS를 스크롤하고, 뉴스 기사를 끝없이 읽고, 유튜브를 보다가 자는 날도 많았다. 블루라이트가 수면 호르몬 분비를 방해한다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생활에 적용하지는 못했었다. 결국 나는 수면 환경을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먼저 침대 옆 스마트폰 충전기를 치우고, 잠들기 1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을 꺼두는 규칙을 만들었다. 조명도 따뜻한 색의 간접 등으로 바꾸고, 방 온도는 약간 쌀쌀한 정도로 유지했다. 그리고 ‘잠들기 전 읽기 좋은 책’ 한 권을 침대 옆에 두었다. 그렇게 수면 루틴을 바꾸고 나니, 잠드는 속도는 빨라졌고, 자는 도중 깨는 일도 줄었다. 하루에 자는 시간은 이전과 같았지만, 아침에 느껴지는 몸 상태는 전혀 달랐다. 수면의 질을 높이는 일은 피로 해소에 있어 가장 직접적인 해결책이었다.
하루 10시간 앉아 있기 – 만성피로는 ‘정지된 몸’에서 온다
내 업무는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 있는 것이다. 회의, 보고서, 기획서 작성, 고객 응대까지 하루 종일 움직이지 않는다.
처음엔 별생각 없었지만, 나중엔 몸 전체가 무겁고 두통까지 나타났다. 단순히 ‘운동 부족’이 아니라, 혈액순환 저하, 근육 긴장, 뇌산고 부족까지 겹친 것이다. 그래서 나는 타이머를 설정해 매시간 일어나 스트레칭 3분, 점심시간엔 10분 산책을 푸틴화했다.
움직이는 시간은 적지만, 반복되면서 내 몸의 활력이 서서히 돌아왔다. 작은 움직임이 에너지 순환의 스위치 역할을 해준 것이다.
디지털 과부하 – 뇌가 쉴 틈이 없었다
알림, 누르면 메시지, 카톡, 뉴스 속보…
나는 하루 평균 200번 이상 스마트폰을 들여다봤고, 뇌는 쉬지 못하고 과열 상태였다. 특히 업무 중 알림 하나로 집중이 깨지고, 다시 집중하기까지 수십 분이 걸리곤 했다. 나는 알림을 모두 비활성화했고, SNS는 아예 삭제했다. 대신 하루 2번, 오전과 오후에만 확인하는 식으로 루틴을 바꾸었다.
이 작은 변화만으로도 두통과 집중력 저하가 눈에 띄게 개선됐다. 디지털 피로는 겉으로 보이지 않지만, 심리적 에너지를 지속해서 소모하는 진짜 피로 유발자였다.
감정노동과 말 못 한 스트레스 – 몸은 감정을 기억한다
나는 겉으론 항상 웃는 사람이었다. 고객에게는 친절하게, 상사 앞에선 예의 있게, 동료들에겐 배려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그런 감정 억제는 결국 내 몸 안에 ‘쌓이는 피로’로 돌아왔다.
특히 말하지 못한 불만이나 억눌린 감정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자율신경계를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나는 감정 정리를 위해 하루 5분 ‘감정 일기’를 쓰기 시작했고, 일주일에 한 번은 혼자 카페에 가서 아무 말 없이 앉아 있는 시간을 만들었다. 그렇게 하자 스트레스가 조금씩 해소되었고, 내 몸도 점차 가벼워졌다. 마음이 편해지면 몸도 따라 편해진다. 이것이 내가 직접 겪은 진리였다.